파이썬 timeit 사용법 알아보기
2021. 4. 5. 06:43
파이썬 코드나 함수의 시간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. time함수를 이용해서 시작할 때 시간과 끝날 때 시간을 비교할 수도 있지만, 조금 세련된 방법이 궁금해졌다. 오늘은 파이썬 timeit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.
default_timer 함수를 호출하면, 현재시간을 알 수 있다. 하지만, timeit은 더 쉽게 반복해서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.
import timeit
timeit.default_timer()
Out: 7482.529687085
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문자열의 코드를 100번 실행하고 시간을 알려준다.
timeit.timeit('[i for i in rage(0,100)]', number=100)
주피터 노트북을 이용한다면, 아래와 같이 매직 명령어로 쉽게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.
%timeit [i for i in range(0,100)]
하지만, 1번만 시간을 측정하고 싶다면 %time을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.함수의 실행시간을 세부적으로 알고 싶다면 %prun을 이용하면 좋다.
매직명령어는 뒤에 ?를 붙이면 사용방법을 쉽게 알 수 있다.
파이썬 파일의 실행시간을 확인하는 방법이 궁금해서 찾아보니, 이는 리눅스의 time명령어를 이용하면 되겠다.
> time python3.6 test1.py
터미널에서 위와 같이 실행하면 파일 실행시간을 알 수 있다. 위의 명령어를 실행하면, 총 3개의 시간이 나온다. 여기서 실제로는 real만 보면 된다. user는 user영역에서, sys는 커널영역에서 실행된 시간을 말한다.
파이썬 global 전역변수 사용방법과 사용예 알아보기! (0) | 2021.06.07 |
---|---|
파이썬 튜토리얼보다 쉽고 재미있는 파이썬 무료 기초 교육 추천! (2) | 2021.06.02 |
파이썬 실행 도중 일시 정지하는 방법은? - time모듈 이용하기 (0) | 2021.05.17 |
파이선 설치 및 코딩 공부하는 법 알아보기 (0) | 2021.03.12 |
도커 사용법-컨테이너 실행, 이미지 삭제하기 등 (0) | 2021.02.24 |